술
*instance@ruimoku/bibliography/title : - 최영호著「2011년 검정통과 일본 역사교과서의 근대 서술에 나타난 변화와 특징:한일관계 관련서술을 중심으로」 韓日關係史研究 40輯, pp.113-138, 2011年12月
- 현명철著「한・일 역사 갈등의 뿌리를 찾아서:한일관계의 변화와 총독부 간행 조선사 기술 검토를 중심으로」 韓日關係史研究 40輯, pp.173-220, 2011年12月
- 김종일著「한국 중기 무문토기문화의 사회구조와 상징체계:송국리 유적 형성과정에 대한 심층 기술(thick description)적 접근」 國史館論叢 104輯, pp.47-81, 2004年
- 辛宗漢(au)「한국소설의구술성연구:채만식의<태평천하>를중심으로」 東洋學 31輯, pp.145-174, 2001年
- 姜熺静著「6세기 扶南과 山東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:남방해로를 통한 인도 불교미술의 東傳」 中國史硏究(대구) 67輯, pp.29-57, 2010年8月
- 이옥순著「인도 대학개혁과 과학기술교육:IIT System을 중심으로」 아시아문화 20号, pp.57-73, 2004年4月
- 柳向春著「강희(康熙) 말년의 학술과 『고금도서집성(古今圖書集成)』」 韓國文化 57, pp.181-194, 2012年3月
- 曺世鉉著「中國大陸에서 출간된 臺灣史 개설서의 역사서술」 中國史硏究(대구) 62輯, pp.217-250, 2009年10月
- 김호연著「개화기 공연예술의 변화와 그 의미:일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」 東洋學 38輯, pp.217-230, 2005年8月
- 최영호著「일본사 사전과 개설서의 전후 현대사 서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」 韓日關係史研究 25輯, pp.151-183, 2006年10月
- 김동명著「일본사 개설서 및 사전류의 한일관계 서술의 문제점: 러일전쟁에서 제2차 세계대전 중결까지」 韓日關係史研究 25輯, pp.123-149, 2006年10月
- 현명철著「일본 개설서와 사전류의 개항기 기술 분석:1860년대에서 러일전쟁 전까지」 韓日關係史研究 25輯, pp.91-122, 2006年10月
- 홍성덕著「일본 역사재설서 및 사전류 서술 내용 분석:임진왜란 및 통신사 서술내용을 중심으로」 韓日關係史研究 25輯, pp.67-90, 2006年10月
- 손승철著「고려・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지술의 공통점과 차이점」 韓日關係史研究 25輯, pp.29-65, 2006年10月
- 조성운著「일제하 문화통치기 보통교육의 확대와 ‘보통학교국사’의 한국근대사 서술 검토」 日本學 39輯, pp.117-154, 2014年11月
- 김경남著「고전 독서에 대한 연구 경향과 고전 교육 연구가 나아갈 길:1990년대 이후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」 韓國民族文化 44, pp.31-59, 2012年8月
- 이헌홍著「김태락 설화의 구술자 개입 양상과 의미」 韓國民族文化 44, pp.3-30, 2012年8月
- 박형준著 민병욱著「1950년대 반공교과서의 서술 전략 연구:『반공독본』과 『애국독본』을 중심으로」 韓國民族文化 33, pp.269-287, 2009年3月
- 양정호著「형태소 개념과 국어사 기술」 韓國文化 34, pp.1-19, 2004年12月
- 박낙규(au) 서진희(au)「송대이학(理學)의예술·미학사상」 서울大學校人文論叢 45巻号, pp.203-226, 2001年
- 윤진이著「한국 모노크롬미술의 ‘정체성담론’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고찰」 서울大學校人文論叢 63巻号, pp.115-147, 2010年6月
- ...
mode=simple
user=
lang=en
XEmacs 21.4 (patch 22) "Instant Classic" [Lucid] (x86_64-unknown-linux, Mule) CHISE v0.25 (Ōkawara) of Fri Jan 24 2025 on chise-backend